<질 의>
❍ 초등학교 계약직(고용계약기간:2003.3.10~2004.2.29) 컴퓨터강사를 계약기간 종료에 따라 해임할 경우 근로기준법 제32조를 적용하여 해고예정일 30일 전에 그 예고를 하여야 하며 30일 전에 예고를 하지 아니한 때에는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지급하여야 하는지
❍ 위 사례에서 2004.2.29 계약기간이 만료된 이후 학교 교직원이 출근을 하지 말라는 구두통보가 있었음에도 강사가 자발적으로 15일 가량 학교에 출근하여 무보수로 학생을 지도한 경우 묵시적 계약갱신에 해당하는지 여부
<회 시>
❍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계약기간 중에 근로계약을 해지하기 위해서는 근로기준법 제35조(해고예고의 적용예외)에 해당하는 경우가 아닌 한 동법 제32조 소정의 해고예고를 하여야 할 것이나,
- 근로계약이 수차에 걸쳐 반복 갱신됨으로써 기간의 정함이 형식에 불과한 경우가 아니라면 계약기간이 만료된 경우 별도의 해고조치가 없어도 근로계약은 자동종료된다고 할 것임.
❍ 귀 질의 (2)의 경우와 같이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경우 사용자가 기간만료 이후에는 계약갱신을 하지 않기로 근로자에게 통보하였다면, 근로자가 임의로 일정한 기간 계속 출근하였다 하더라도 계약이 갱신된 것으로 보기는 어려울 것임.
- 그러나, 근로자가 계약기간 만료 이후에도 상당한 기간 계속 출근하여 근로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알고 있으면서도 출근을 묵인하였다면 당사자가 계약갱신을 묵시적으로 인정한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임.
【근로기준과-1581, 2005.03.18】
'근로자, 공무원 > 해고, 징계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노위 구제명령 불이행자의 조치방법【근로기준팀-853】 (0) | 2013.11.27 |
---|---|
수습근로자에 대한 해고예고 적용 여부【근로기준과-4220】 (0) | 2013.11.27 |
담당 부서 소멸로 유사 직무 발생시까지 재택근무 발령을 한 바, 이 때 복직명령 자체의 효력 인정 여부【근로기준과-2168】 (0) | 2013.11.26 |
효력이 없는 취업규칙에 의한 해고가 정당한지【근로기준과-2153】 (0) | 2013.11.26 |
해산기업이 청산과정에서 근로자를 해고하는 것이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인지【근로기준과-1508】 (0) | 2013.11.26 |
유니온숍 규정에 의거 노조에서 제명된 근로자를 해고하는 것이 정당한지【근로기준과-1377】 (0) | 2013.11.26 |
관리직 직원을 연구직으로 전직처분하는 것이 정당한지 여부【근로기준과-9329】 (0) | 2013.11.21 |
해고사유를 정한 서약서 작성 전 행위에 대하여 동 서약서를 근거로 징계할 수 있는지【근로기준과-9328】 (0) | 2013.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