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 전자근로계약서 서명시 근로기준법 제17조 의무를 다한 것인지 여부
<회 시>
❍ 사용자와 근로자는 전자근로계약서를 작성하는 방법으로 근로계약을 체결할 수 있음.
- 이 경우 근로계약에 관한 분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가급적 당사자의 서명을 포함한 문서를 전자화하거나 「전자서명법」에 의한 전자서명을 하는 등의 방법으로써 해당 계약 당사자 쌍방의 의사가 합치하여 전자근로계약서에 명시된 내용대로 근로계약을 체결하였음을 명확히 하여야 함.
- 또한 최종 작성 또는 서명 이후에 어느 일방이 임의로 수정할 수 없도록 위변조 방지를 위한 장치를 마련하여야 함.(근로기준정책과-5455, 2016.9.1, 전자근로계약서 활성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 귀 질의 내용과 같이 회사가 「근로기준법」 제17조에 맞게 근로계약의 내용이 입력된 전자장치를 마련하여 근로자는 사원 인증 후 스마트 폰으로 전자서명을 하게한다면 유효한 근로계약체결로는 볼 수 있으나
- 이러한 전자근로계약서가 비록 근로자가 스스로 출력할 수 있는 상황이라 하더라도 회사 서버에만 저장되어 있다면 사용자의 교부의무를 다하였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며, 근로자가 전자근로계약서를 수신할 정보처리시스템을(e메일 등) 지정하게 하고 사용자가 해당 정보처리시스템에 전자근로계약서를 입력(발송)한 때 사용자가 근로계약서를 교부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임.
- 만약 근로자가 정보처리시스템으로의 수신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근로계약서를 직접 교부하여야 할 것임.
【근로기준정책과-6384, 2016.10.12.】
'근로자, 공무원 > 근로계약, 취업규칙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업규칙 작성 등 관련 [근로개선정책과-2403] (0) | 2016.11.15 |
---|---|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및 근로자 동의 필요 여부 [근로개선정책과-874] (0) | 2016.11.14 |
근로자 채용공고에 ‘실적이 우수한 자는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한다’고 공지했다면 회사 측은 공지 내용을 이행해야 한다 [서울고법 2015나2062553] (0) | 2016.10.26 |
근로시간을 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포괄임금제 계약을 했더라도 최저 임금에 미달하는 부분은 무효(노인센터 요양보호사 관련) [대법원 2014도8873] (0) | 2016.10.20 |
탄력적근로시간제 및 보상휴가제 도입시 근로자대표 관련 [근로기준정책과-2872] (0) | 2016.10.06 |
기간을 정한 근로자의 정당한 근로계약갱신 기대권을 부당하게 침해한 경우 사용자에게 손해배상책임 있다 [춘천지법 2016가단683] (0) | 2016.09.30 |
근로계약서에 근로시간의 상한만을 규정하고 소정근로시간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아니한 경우 근로조건 서면명시 의무 위반 여부 [근로기준정책과-5951] (0) | 2016.08.25 |
취업규칙 변경시 과반수 노조 판단 관련(복수노조 사업장에서 각 노동조합에 중복으로 가입한 근로자가 있는 경우) [근로기준정책과-4436] (0) | 2016.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