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2024.7.25. 선고 2024다203891·203921·203914·203907 판결】

 

• 대법원 제3부 판결

• 사 건 / 2024다203891 근로에관한 소송

                2024다203907(병합) 근로에관한 소송

                2024다203914(병합) 근로에관한 소송

                2024다203921(병합) 근로에관한 소송

• 원고, 상고인 / 1. A, 2. B, 3. C, 4. D

• 원고, 피상고인 / 5. E, 6. F, 7. G, 8. H

• 피고, 상고인 겸 피상고인 / I 주식회사

• 원심판결 / 서울고등법원 2023.11.30. 선고 (인천)2021나13187, (인천)2021나13194(병합), (인천)2021나13217(병합), (인천)2021나13200(병합) 판결

• 판결선고 / 2024.07.25.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 중 원고 A, B, C, D의 상고로 인한 부분은 같은 원고들이, 피고의 상고로 인한 부분은 피고가 각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원고 A, B, C, D의 상고이유와 피고의 제1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은,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후, 이 사건 사내협력업체 소속 근로자인 원고 E, F, G, H은 피고와 근로자파견관계에 있었다고 인정할 수 있으나, 이 사건 2차 협력업체 소속 근로자인 원고 A, B, C, D은 피고와 근로자파견관계에 있었다고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에 근로자파견의 판단 기준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2.  피고의 제2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은, 사용사업주가「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파견법’이라 한다)의 규정을 위반하여 파견근로자를 사용함으로써 파견법에 따라 직접고용의무가 최초 발생한 이후에도 파견근로자를 계속 사용하는 동안에는 파견법 위반 상태가 지속되어 직접고용의무가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이에 상응한 파견근로자의 직접고용청구권도 계속적으로 발생한다는 이유로, 원고 E, F, G, H의 직접고용청구권이 시효완성으로 소멸하였다는 피고의 항변을 배척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에 직접고용청구권의 소멸시효, 처분권주의, 변론주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3.  피고의 제3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원고들의 청구가 신의칙에 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에 신의칙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4.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엄상필(재판장) 이흥구(주심) 노정희 오석준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기간제, 파견, 고령자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금피크제의 도입목적, 근로자들의 불이익 정도, 대상조치의 존부, 제도 도입으로 조달된 재원의 사용처 등을 종합하여 볼 때 임금피크제는 무효이다 [대구고법 2024나10304]  (0) 2024.08.19
테마파크 내 셔틀버스 운전기사와 테마파크 운영 회사 사이에 근로자파견관계가 인정된다 [서울동부지법 2021가합105963]  (0) 2024.08.19
연체대출채권 관리 및 회수 업무 수행은 ‘2년을 초과하여 기간제 근로자를 사용할 수 있는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 [대구고법 2023나13849]  (0) 2024.08.14
자동차회사와 사외협력업체 소속 근로자들 사이에 근로자파견 관계가 인정 / 직접고용의무 이행청구권의 소멸시효 기간은 10년 [대법 2024다211908, 부산고등법원 (창원)2021나14253]  (0) 2024.08.06
근로자파견 관계가 인정되므로 불법으로 파견 근로자를 사용한 혐의도 유죄에 해당한다 [대법 2023도3915]  (0) 2024.07.23
임금피크제 도입의 목적이 정당하고, 불이익을 보전하는 조치가 이뤄지는 등의 형태로 정년유지형 임금피크제를 시행한다면 연령차별로 볼 수 없다 [정년유지형 임금피크제 유효] [서울고법 2020나2023019]  (0) 2024.07.23
임금피크제는 연령을 이유로 한 차별로 무효. 퇴직금 중간정산도 무효. 임금 및 퇴직금 채무에 상사이율이 적용되지 않음 [대법 2023다213556, 서울중앙지법 2021나76165]  (0) 2024.07.18
근로자파견관계 인정. 파견법 제6조의2제1항(직접고용의무규정)에 따른 고용 의사표시 청구권의 소멸시효 기간(= 10년) [대법 2021다274069]  (0) 2024.07.18